본문 바로가기
디지털노마드 장비 추천

캐논 EOS R50 영상 촬영 가이드, 초보자도 따라하는 프로 세팅법

by NomadOne 2025. 7. 18.

🛍️ 쿠팡 파트너스 활동 고지 🛒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캐논 EOS R50은 컴팩트한 바디에 강력한 영상 기능을 담은 미러리스 카메라예요. 4K 30fps 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듀얼 픽셀 CMOS AF II로 빠른 오토포커스를 지원해서 유튜브나 브이로그 촬영에 정말 좋답니다.

 

캐논 EOS R50 영상 촬영 가이드, 초보자도 따라하는 프로 세팅법
캐논 EOS R50 영상 촬영 가이드, 초보자도 따라하는 프로 세팅법

 

이 가이드에서는 EOS R50으로 전문가 수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모든 세팅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기본 설정부터 고급 기능까지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누구나 멋진 영상을 만들 수 있어요!

 

🎥 영상 촬영 기본 세팅

EOS R50으로 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기본 세팅을 제대로 하는 거예요. 카메라를 영상 모드로 전환하고, 메뉴에서 '동영상 기록 크기'를 선택해주세요. 여기서 해상도와 프레임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답니다. 유튜브나 일반적인 영상 제작에는 4K 30fps나 FHD 60fps를 추천드려요.

 

셔터스피드는 프레임레이트의 2배로 설정하는 게 기본이에요. 예를 들어 30fps로 촬영한다면 셔터스피드는 1/60초로, 60fps라면 1/125초로 설정하면 자연스러운 모션블러를 얻을 수 있어요. 이 규칙을 '180도 셔터 룰'이라고 부르는데, 영화 같은 느낌을 내는 데 중요한 요소랍니다. ISO는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되, 실내나 저조도 환경에서는 노이즈가 생기지 않는 선에서 적절히 올려주세요.

 

조리개는 원하는 피사계 심도에 따라 조절하면 돼요. 배경을 흐리게 하고 싶다면 f1.8~f2.8 정도의 밝은 조리개를, 전체적으로 선명한 영상을 원한다면 f5.6~f8 정도를 사용하세요. RF 50mm f1.8이나 RF 35mm f1.8 같은 단렌즈를 사용하면 더욱 영화 같은 느낌을 낼 수 있어요. 화이트밸런스는 촬영 환경에 맞게 설정하되, 일관성 있는 색감을 위해 수동으로 켈빈값을 조절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오디오 설정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에요. EOS R50은 내장 마이크를 가지고 있지만, 더 좋은 음질을 원한다면 외장 마이크를 연결하는 걸 추천해요. 메뉴에서 '녹음 레벨'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피크가 -12dB를 넘지 않도록 설정하면 깨끗한 오디오를 얻을 수 있답니다. 바람이 부는 야외에서는 '윈드 필터' 기능을 켜주는 것도 잊지 마세요!

 

📊 영상 해상도별 특징 비교

해상도 프레임레이트 용도
4K 30fps 고화질 영상, 크롭 여유
FHD 60fps 부드러운 움직임, 슬로우모션
FHD 120fps 고속 슬로우모션

 

파일 포맷은 MP4를 선택하는 게 일반적이에요. 편집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이 좋고 파일 크기도 적당하거든요. 비트레이트는 높을수록 화질이 좋아지지만, 저장 공간도 많이 차지하니 용도에 맞게 선택하세요. 일반적인 유튜브 영상이라면 표준 비트레이트로도 충분해요. 메모리 카드는 V30 이상의 고속 카드를 사용하는 걸 추천드려요. 4K 영상을 안정적으로 녹화하려면 쓰기 속도가 중요하답니다!

 

나는 처음에 EOS R50으로 영상을 찍을 때 세팅이 복잡해서 헤맸는데, 이렇게 하나씩 설정하니까 훨씬 쉬워졌어요. 특히 셔터스피드와 프레임레이트의 관계를 이해하고 나니 영상이 훨씬 자연스러워졌답니다. 여러분도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

 

영상 촬영 시 배터리 소모가 빠르니 여분의 배터리를 준비하는 것도 중요해요. LP-E17 배터리는 4K 30분 정도 촬영이 가능한데, 장시간 촬영을 계획한다면 2-3개는 있어야 안심이에요. USB-C 충전이 가능하니 보조배터리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랍니다.

🎨 픽처 프로파일 설정

픽처 프로파일은 영상의 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예요. EOS R50에는 여러 가지 픽처 스타일이 내장되어 있는데, 각각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면 원하는 분위기의 영상을 만들 수 있답니다. 스탠다드는 일반적인 촬영에 적합하고, 포트레이트는 피부톤을 부드럽게 표현해줘요.

 

뉴트럴이나 충실 설정은 후반 작업을 염두에 둔 촬영에 좋아요. 색상이 과하지 않고 자연스러워서 컬러 그레이딩할 때 더 많은 여유를 가질 수 있거든요. 특히 뉴트럴은 콘트라스트가 낮아서 하이라이트와 섀도우의 디테일을 더 많이 담을 수 있어요. 전문적인 영상 제작을 목표로 한다면 이 설정을 추천드려요!

 

각 픽처 스타일은 세부 조정이 가능해요. 샤프니스, 콘트라스트, 채도, 색조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영상용으로는 샤프니스를 0이나 -1로 낮추는 게 좋아요. 과도한 샤프닝은 영상에서 부자연스러워 보일 수 있거든요. 콘트라스트도 -2 정도로 낮추면 더 많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보할 수 있답니다.

 

사용자 정의 픽처 스타일을 만들어서 저장할 수도 있어요. 자주 사용하는 설정을 미리 저장해두면 촬영 현장에서 빠르게 전환할 수 있어 편리해요. 저는 실내용, 야외용, 인물용으로 나누어서 3가지 커스텀 설정을 만들어 놓았답니다. 이렇게 하면 상황에 맞게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요! 🎨

 

🖼️ 픽처 스타일별 추천 설정값

픽처 스타일 샤프니스 콘트라스트 채도
영상용 뉴트럴 0 -2 -1
인물 촬영용 -1 -1 0

 

HDR PQ 설정도 EOS R50의 숨은 기능 중 하나예요. 이 모드를 사용하면 더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와 풍부한 색재현이 가능해요. 다만 HDR 콘텐츠를 제대로 보려면 HDR 지원 모니터가 필요하고, 편집도 조금 더 복잡해질 수 있어요. 일반적인 SDR 영상 제작이 목적이라면 표준 픽처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게 더 효율적이랍니다.

 

색공간 설정도 중요해요. sRGB가 기본 설정이지만, 더 넓은 색재현을 원한다면 Adobe RGB를 선택할 수 있어요. 하지만 최종 출력이 웹이나 일반 모니터라면 sRGB를 유지하는 게 좋아요. 색공간이 맞지 않으면 의도한 색과 다르게 보일 수 있거든요.

 

마지막으로 하이라이트 톤 우선 모드를 활용하면 밝은 부분의 계조를 더 잘 살릴 수 있어요. 특히 흰 옷이나 구름 같은 밝은 피사체를 촬영할 때 유용해요. ISO는 200부터 시작하지만, 다이나믹 레인지가 약 1스톱 정도 확장되는 효과가 있답니다. 야외 촬영이나 창가 촬영처럼 명암차가 큰 상황에서 특히 도움이 돼요! 📹

 

나의 경험으로는 처음엔 기본 설정으로 촬영하다가 점점 커스텀 설정의 중요성을 깨달았어요. 특히 유튜브 영상을 만들 때는 일관된 룩을 유지하는 게 중요한데, 픽처 프로파일을 잘 설정해두면 후반 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답니다.

 

🎯 오토포커스 최적화

EOS R50의 듀얼 픽셀 CMOS AF II는 정말 뛰어난 성능을 자랑해요. 화면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포커싱이 가능하고, 사람과 동물, 차량까지 인식할 수 있답니다. 영상 촬영에서 안정적인 포커스는 작품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예요. 먼저 AF 동작 특성을 영상 촬영에 맞게 설정해볼게요.

 

AF 속도는 -7에서 +7까지 조절할 수 있는데, 너무 빠르면 포커스가 갑자기 바뀌어서 부자연스러워 보여요. 일반적으로 -2에서 0 사이로 설정하면 부드러운 포커스 전환을 얻을 수 있어요. 인터뷰나 브이로그처럼 정적인 촬영에는 -2를, 움직임이 있는 촬영에는 0 정도가 적당해요. AF 추적 감도도 중요한데, 0으로 설정하면 장애물이 잠시 가려도 원래 피사체를 계속 추적해요.

 

얼굴+추적 우선 AF는 인물 촬영에 정말 유용해요. 카메라가 자동으로 얼굴을 인식하고 추적하는데, 여러 명이 있을 때는 터치스크린으로 원하는 사람을 선택할 수 있어요. 눈 검출 AF를 켜면 더욱 정확한 포커싱이 가능해요. 특히 얕은 피사계 심도로 촬영할 때 눈에 정확히 초점이 맞으면 훨씬 전문적인 영상이 된답니다! 👁️

 

동물 검출 기능도 있어서 반려동물 채널을 운영한다면 정말 편리해요. 강아지나 고양이의 얼굴과 눈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추적해요. 다만 너무 빠르게 움직이는 경우에는 수동 포커스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AF 영역 모드는 상황에 따라 선택하면 되는데, 1점 AF는 정확한 위치에, 존 AF는 움직이는 피사체에 유용해요.

 

🔍 상황별 AF 설정 가이드

촬영 상황 AF 속도 추적 감도 AF 모드
인터뷰/토크 -2 0 얼굴+추적
제품 리뷰 0 -1 1점 AF
스포츠/액션 +2 +1 존 AF

 

터치 AF는 EOS R50의 또 다른 강점이에요. 화면을 터치하면 즉시 그 지점으로 포커스가 이동하는데, 이때도 AF 속도 설정이 적용되어 부드럽게 전환돼요. 제품 촬영이나 요리 영상처럼 포커스를 자주 바꿔야 할 때 정말 편리해요. 터치&드래그 AF를 사용하면 뷰파인더를 보면서도 엄지손가락으로 포커스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답니다.

 

수동 포커스도 때로는 필요해요. 특히 매크로 촬영이나 특수한 연출이 필요할 때는 MF가 더 정확할 수 있어요. EOS R50은 포커스 피킹 기능을 지원해서 초점이 맞은 부분을 색상으로 표시해줘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피사체 색상과 대비되는 색을 선택하면 더 잘 보여요. MF 피킹 레벨도 높음/낮음으로 조절 가능해요.

 

서보 AF 설정에서 'Case' 설정도 활용해보세요. Case 1은 다목적용, Case 2는 장애물을 무시하고 추적, Case 3은 갑자기 나타나는 피사체, Case 4는 빠르게 가속/감속하는 피사체에 최적화되어 있어요. 스포츠나 야생동물 촬영처럼 예측하기 어려운 움직임을 담을 때 적절한 Case를 선택하면 성공률이 높아져요.

 

저조도 AF 성능도 EOS R50의 자랑이에요. EV -4까지 AF가 작동하는데, 이는 달빛 정도의 어두운 환경에서도 포커싱이 가능하다는 뜻이에요. 다만 어두운 환경에서는 AF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니, AF 보조광을 활용하거나 LED 라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내가 생각했을 때 야간 촬영이나 실내 촬영이 많다면 f1.8 이하의 밝은 렌즈를 사용하는 게 AF 성능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

 

📹 손떨림 보정 설정

안정적인 영상을 위해서는 손떨림 보정이 필수예요. EOS R50은 바디 내장 손떨림 보정(IBIS)은 없지만, 렌즈 손떨림 보정과 디지털 손떨림 보정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어요. 먼저 렌즈에 IS(Image Stabilizer) 기능이 있다면 반드시 켜주세요. RF 렌즈들은 대부분 뛰어난 손떨림 보정 성능을 가지고 있답니다.

 

디지털 동영상 IS는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어요. '사용'과 '향상' 두 가지 옵션이 있는데, '사용'은 일반적인 손떨림을 보정하고, '향상'은 걸으면서 촬영할 때처럼 큰 흔들림도 보정해줘요. 다만 '향상' 모드를 사용하면 화각이 약간 크롭되니 이점을 고려해서 선택하세요. 삼각대를 사용할 때는 모든 손떨림 보정을 꺼야 오히려 안정적이에요.

 

핸드헬드 촬영 시 자세도 중요해요. 카메라를 양손으로 단단히 잡고, 팔꿈치를 몸에 밀착시키면 훨씬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해요. 스트랩을 목에 걸고 팽팽하게 당기면서 촬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가능하다면 벽이나 기둥에 기대어 촬영하면 더욱 안정적이죠. 숨을 천천히 내쉬면서 촬영하는 것도 미세한 떨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돼요.

 

짐벌을 사용하면 영화 같은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 수 있어요. DJI RS3 Mini나 Zhiyun Crane M3 같은 소형 짐벌이 EOS R50과 잘 맞아요. 짐벌 사용 시에는 렌즈 IS는 켜두되, 디지털 IS는 끄는 게 좋아요. 두 가지 보정이 충돌하면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생길 수 있거든요. 짐벌 모드는 팬 팔로우나 POV 모드를 상황에 맞게 선택하세요.

 

🎬 촬영 스타일별 손떨림 보정 설정

촬영 스타일 렌즈 IS 디지털 IS 추천 액세서리
핸드헬드 ON 사용 넥 스트랩
워킹샷 ON 향상 짐벌
삼각대 OFF OFF 비디오 삼각대

 

슬라이더나 돌리를 사용하면 더욱 전문적인 카메라 무빙을 만들 수 있어요. 작은 테이블탑 슬라이더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좋아요. 제품 촬영이나 인서트샷을 찍을 때 슬라이더로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면 영상의 퀄리티가 확 올라가요. 모터라이즈드 슬라이더를 사용하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일 수 있어 타임랩스 촬영에도 활용할 수 있답니다.

 

모노포드도 좋은 대안이에요. 삼각대보다 기동성이 좋으면서도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제공해요. 특히 이벤트나 스포츠 촬영처럼 빠르게 위치를 바꿔야 할 때 유용해요. 비디오 모노포드는 하단에 작은 삼발이가 있어서 혼자 세워둘 수도 있어요. 팬이나 틸트 동작을 할 때도 모노포드를 축으로 사용하면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 수 있답니다.

 

리그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케이지, 핸들, 숄더 패드 등을 조합하면 무게 중심이 안정되어 장시간 촬영이 편해져요. 특히 외장 모니터나 마이크 등 액세서리를 많이 장착할 때는 리그가 필수예요. SmallRig나 Tilta 같은 브랜드에서 EOS R50용 케이지를 출시했으니 참고하세요. 처음에는 기본 케이지와 탑 핸들 정도로 시작하는 걸 추천드려요! 🎥

 

와이어리스 팔로우 포커스 시스템도 전문적인 촬영에 도움이 돼요. 짐벌이나 크레인 촬영 시 원격으로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해요. 최근에는 스마트폰 앱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저렴한 제품들도 나왔어요. 포커스 풀러가 따로 있는 대규모 촬영이 아니더라도, 혼자 촬영할 때 정확한 포커스 컨트롤이 가능해져요.

 

⚙️ 커스텀 버튼 활용법

EOS R50의 커스텀 버튼을 잘 활용하면 촬영 효율이 크게 향상돼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버튼에 할당해두면 메뉴를 뒤적거릴 필요 없이 빠르게 설정을 바꿀 수 있답니다. 영상 촬영 시 특히 유용한 커스텀 설정들을 알려드릴게요. C1, C2 버튼과 동영상 버튼, 그리고 터치 바까지 활용할 수 있어요.

 

C1 버튼에는 '확대' 기능을 할당하는 걸 추천해요. 수동 포커스로 정확한 초점을 맞출 때 화면을 확대해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해요. 5배, 10배 확대가 가능한데, 특히 매크로 촬영이나 중요한 장면에서 포커스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요. 확대 상태에서도 녹화가 가능하니 걱정하지 마세요. 다시 C1을 누르면 원래 화면으로 돌아와요.

 

C2 버튼에는 '히스토그램' 표시를 할당하면 좋아요. 촬영 중 노출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언더나 오버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요. 특히 야외 촬영 시 LCD가 잘 안 보일 때 히스토그램으로 노출을 판단하면 정확해요. RGB 히스토그램을 선택하면 색상별 노출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제브라 패턴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노출 설정이 가능해요.

 

동영상 버튼은 기본적으로 녹화 시작/정지 기능이지만, 다른 기능으로 변경할 수도 있어요. 저는 가끔 'ISO 설정'으로 바꿔서 사용해요. 조도가 자주 바뀌는 환경에서 빠르게 ISO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답니다. 또는 '화이트밸런스' 기능을 할당해서 색온도를 빠르게 조절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상황에 따라 필요한 기능으로 바꿔가며 사용하세요! ⚡

 

🎛️ 추천 커스텀 버튼 설정

버튼 추천 기능 활용 상황
C1 확대 MF 포커스 확인
C2 히스토그램 노출 확인
M-Fn 제브라 오버 노출 체크

 

M-Fn 버튼은 멀티펑션 바 근처에 있는데, '제브라 패턴' 표시를 할당하면 유용해요. 제브라는 설정한 밝기 이상의 영역을 줄무늬로 표시해주는 기능이에요. 보통 70-80% 정도로 설정하면 피부톤의 적정 노출을 확인하기 좋고, 100%로 설정하면 완전히 날아간 하이라이트를 확인할 수 있어요. 인물 촬영 시 특히 도움이 되는 기능이랍니다.

 

터치 바는 좌우로 스와이프해서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독특한 인터페이스예요. ISO, 조리개, 셔터스피드 중 하나를 할당할 수 있는데, 영상 촬영 시에는 ISO를 할당하는 걸 추천해요. 노출 보정도 좋은 선택이에요. 터치 바의 감도도 조절할 수 있으니 자신의 사용 습관에 맞게 설정하세요. 실수로 설정이 바뀌는 게 걱정된다면 잠금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어요.

 

Q 메뉴도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요.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Q 메뉴에 배치해두면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요. 픽처 스타일, AF 모드, 드라이브 모드, 화이트밸런스 등을 넣어두면 좋아요. 영상 모드와 사진 모드의 Q 메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니, 각각 최적화해서 사용하세요. 터치스크린으로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어 정말 편리하답니다.

 

마이 메뉴 설정도 빼놓을 수 없어요.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들을 마이 메뉴에 등록해두면 깊숙한 메뉴를 찾아 헤맬 필요가 없어요. 포맷, 날짜/시간 설정, 비디오 시스템(NTSC/PAL), HDMI 출력 설정 등을 등록해두면 좋아요. 최대 5개의 탭에 각각 6개씩 총 30개의 항목을 등록할 수 있으니 충분히 활용하세요. 메뉴 표시를 '마이 메뉴 탭부터'로 설정하면 더욱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요! 🚀

 

🎬 영상 촬영 액세서리

EOS R50으로 더 나은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절한 액세서리가 필요해요.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건 여분의 배터리와 메모리 카드예요. LP-E17 배터리는 영상 촬영 시 빨리 소모되므로 최소 2-3개는 준비하는 게 좋아요. 메모리 카드는 V30 이상의 UHS-I 카드를 추천하는데, 128GB 정도면 4K 30fps로 약 3시간 정도 촬영할 수 있답니다.

 

외장 마이크는 음질 향상을 위해 필수예요. Rode VideoMicro나 VideoMic GO II 같은 콤팩트한 제품이 EOS R50과 잘 어울려요. 지향성 마이크라서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소리를 주로 녹음하고, 주변 소음은 줄여줘요. 윈드 쉴드(털 방풍)도 함께 사용하면 바람 소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요. 인터뷰나 브이로그에는 무선 마이크 시스템도 좋은 선택이에요.

 

LED 조명도 영상 퀄리티를 크게 향상시켜요. Aputure AL-M9이나 Ulanzi VL49 같은 포켓 사이즈 LED는 휴대성이 좋으면서도 충분한 광량을 제공해요.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제품을 선택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디퓨저나 컬러 필터를 함께 사용하면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조명을 만들 수 있답니다. 링라이트는 뷰티나 제품 촬영에 특히 유용해요.

 

ND 필터는 야외 촬영의 필수품이에요. 밝은 햇빛 아래에서도 얕은 피사계 심도를 유지하면서 적절한 셔터스피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줘요. 가변 ND 필터를 사용하면 ND2-ND400까지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해요. K&F Concept이나 Tiffen 제품이 가성비가 좋아요. 렌즈 구경에 맞는 사이즈를 선택하고, 스텝업 링을 사용하면 여러 렌즈에 호환 가능해요.

 

🛍️ 영상 액세서리 우선순위

우선순위 액세서리 예산대 추천 제품
1순위 여분 배터리 3-5만원 정품 LP-E17
2순위 외장 마이크 5-15만원 Rode VideoMic GO II
3순위 삼각대/짐벌 10-30만원 DJI RS3 Mini

 

외장 모니터를 사용하면 더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요. Atomos Shinobi나 Feelworld F6 Plus 같은 5-7인치 모니터가 적당해요. 파형 모니터, 벡터스코프, 포커스 피킹 등 전문적인 모니터링 툴을 제공해서 정확한 노출과 색상 확인이 가능해요. 특히 야외에서 고휘도 모니터는 필수예요. HDMI 케이블은 꺾임 방지 타입을 사용하면 포트 손상을 막을 수 있어요.

 

케이지와 리그 시스템은 액세서리를 확장할 때 필요해요. SmallRig에서 EOS R50 전용 케이지를 출시했는데, 콜드슈 마운트와 1/4인치 나사홀이 많아서 다양한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어요. 탑 핸들을 추가하면 로우 앵글 촬영이 편해지고, 사이드 핸들은 안정적인 그립을 제공해요. 15mm 로드를 추가하면 팔로우 포커스나 매트박스도 장착 가능해요.

 

파워 솔루션도 중요해요. USB-C PD 충전을 지원하는 보조배터리를 사용하면 장시간 촬영이 가능해요. 더미 배터리와 AC 어댑터를 사용하면 무제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지만, 이동성이 제한돼요. V-마운트 배터리 시스템은 전문적인 촬영에 적합하지만 무게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어요. 상황에 맞는 파워 솔루션을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렌즈 선택도 영상 촬영의 중요한 부분이에요. RF 16mm f2.8은 브이로그에 완벽하고, RF 50mm f1.8은 인물 촬영에 좋아요. RF 24-105mm f4-7.1은 다양한 화각이 필요할 때 유용해요. 시네마 렌즈를 사용하면 더욱 부드러운 포커스 링과 일정한 조리개를 얻을 수 있어요. 어댑터를 사용하면 EF 렌즈도 사용 가능하니 선택의 폭이 넓어요. 나의 생각으로는 처음에는 단렌즈 하나와 표준 줌렌즈 하나로 시작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FAQ

Q1. EOS R50으로 4K 60fps 촬영이 가능한가요?

 

A1. 아니요, EOS R50은 4K 30fps까지만 지원해요. 60fps는 FHD 해상도에서만 가능하답니다. 더 높은 프레임레이트가 필요하다면 FHD 120fps 모드를 활용해보세요.

 

Q2. 영상 촬영 시 30분 제한이 있나요?

 

A2. 네, 한 번에 최대 29분 59초까지 연속 촬영이 가능해요. 이는 관세 규정 때문인데, 30분을 넘으면 비디오카메라로 분류되거든요. 장시간 촬영이 필요하다면 외부 레코더를 사용하세요.

 

Q3. 크롭 팩터는 얼마나 되나요?

 

A3. 4K 촬영 시 약 1.5배의 크롭이 발생해요. FHD는 크롭 없이 전체 센서를 사용합니다. 디지털 IS '향상' 모드를 사용하면 추가 크롭이 발생해요.

 

Q4. 외부 마이크 연결 시 모니터링이 가능한가요?

 

A4. 아쉽게도 헤드폰 단자가 없어서 직접 모니터링은 불가능해요. HDMI를 통해 외부 모니터로 오디오를 확인하거나, USB-C 오디오 어댑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요.

 

Q5. 로그 촬영이 가능한가요?

 

A5. EOS R50은 Canon Log를 지원하지 않아요. 대신 뉴트럴 픽처 스타일을 커스텀해서 플랫한 프로파일을 만들 수 있어요. 콘트라스트를 낮추고 채도를 줄이면 그레이딩 여유가 생겨요.

 

Q6. 듀얼 픽셀 RAW 비디오를 지원하나요?

 

A6. 아니요, EOS R50은 RAW 비디오 녹화를 지원하지 않아요. MP4 포맷의 H.264 코덱만 사용 가능합니다. RAW 비디오가 필요하다면 상위 기종을 고려해보세요.

 

Q7. 슬로우모션 촬영은 어떻게 하나요?

 

A7. FHD 120fps로 촬영한 후 편집 프로그램에서 24fps나 30fps로 재생하면 4-5배 슬로우모션이 돼요. 카메라 내에서 직접 슬로우모션으로 재생되지는 않아요.

 

Q8. 영상용 최적 메모리 카드는?

 

A8. V30 등급 이상의 UHS-I SD 카드를 추천해요. SanDisk Extreme Pro나 Lexar Professional 시리즈가 안정적이에요. 최소 64GB, 가능하면 128GB 이상을 사용하세요.

 

Q9. 오버히팅 문제가 있나요?

 

A9. 일반적인 실내 온도에서는 문제없지만, 한여름 야외나 4K 장시간 촬영 시 발열이 있을 수 있어요. 적절한 휴식 시간을 주고, 가능하면 그늘에서 촬영하세요.

 

Q10. 웹캠으로 사용할 수 있나요?

 

A10. 네, EOS Webcam Utility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USB 연결로 웹캠처럼 사용할 수 있어요. 화상회의나 라이브 스트리밍에 활용 가능합니다.

 

Q11. 타임랩스 촬영이 가능한가요?

 

A11. 네, 인터벌 타이머 기능을 사용해서 타임랩스 촬영이 가능해요. 카메라가 자동으로 설정한 간격으로 사진을 찍고, 이를 동영상으로 만들어줍니다.

 

Q12. HDR 비디오를 지원하나요?

 

A12. HDR PQ 모드를 지원해서 HDR 영상 촬영이 가능해요. 다만 HDR 모니터나 TV가 있어야 제대로 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어요.

 

Q13. 영상 촬영 중 사진 촬영이 가능한가요?

 

A13. 아니요, 동영상 녹화 중에는 스틸 사진을 찍을 수 없어요. 녹화를 중단한 후 사진을 촬영해야 합니다.

 

Q14. 어떤 짐벌이 호환되나요?

 

A14. DJI RS3 Mini, Zhiyun Crane M3, MOZA AirCross 3 등이 잘 맞아요. 페이로드가 작은 미러리스용 짐벌을 선택하세요.

 

Q15. 영상 편집은 어떤 프로그램이 좋나요?

 

A15. Adobe Premiere Pro, DaVinci Resolve, Final Cut Pro 등이 전문적이에요. 초보자는 무료인 DaVinci Resolve부터 시작하는 걸 추천합니다.

 

Q16. 외부 레코더 연결이 가능한가요?

 

A16. 네, HDMI를 통해 Atomos Ninja V 같은 외부 레코더에 연결할 수 있어요. 4:2:2 10bit 출력이 가능해서 더 좋은 화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Q17. 페이스 트래킹이 얼마나 정확한가요?

 

A17. 듀얼 픽셀 CMOS AF II 덕분에 매우 정확해요. 옆모습이나 일부가 가려져도 잘 추적하고, 여러 명 중에서도 선택한 사람을 계속 따라갑니다.

 

Q18. 야간 촬영 시 추천 설정은?

 

A18. ISO는 3200-6400 정도, 셔터스피드는 1/50초(24fps 기준), 조리개는 최대 개방하세요. 노이즈 감소는 '표준'으로 설정하고, 가능하면 외부 조명을 활용하세요.

 

Q19. 비트레이트는 얼마나 되나요?

 

A19. 4K 30fps는 약 120Mbps, FHD 60fps는 약 60Mbps예요. IPB 압축 방식을 사용하며, ALL-I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Q20. 펌웨어 업데이트로 기능이 추가되나요?

 

A20. 캐논은 정기적으로 펌웨어를 업데이트해요. AF 성능 개선이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Q21. 세로 영상 촬영이 편한가요?

 

A21. 바리앵글 LCD 덕분에 세로 촬영도 편해요. 인스타그램 릴스나 유튜브 쇼츠용 9:16 영상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Q22. 색 공간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A22. 일반적인 웹 업로드용이라면 sRGB를 유지하세요. 전문적인 색보정 작업을 한다면 Adobe RGB를 선택할 수 있지만, 최종 출력을 고려해야 해요.

 

Q23. 무음 촬영 모드가 있나요?

 

A23. 영상 모드에서는 셔터음이 나지 않아요. 다만 AF 구동음은 약간 들릴 수 있으니, 조용한 환경에서는 외부 마이크 사용을 권장합니다.

 

Q24. 프록시 파일을 생성하나요?

 

A24. 카메라에서 직접 프록시 파일을 생성하지는 않아요. 편집 프로그램에서 프록시를 만들어 사용해야 합니다.

 

Q25. 전자식 뷰파인더 해상도는?

 

A25. 약 236만 화소의 OLED EVF를 탑재했어요. 밝고 선명해서 야외에서도 잘 보이고, 120fps 모드로 설정하면 더 부드러운 표시가 가능해요.

 

Q26. 배터리 그립을 장착할 수 있나요?

 

A26. 아쉽게도 EOS R50용 공식 배터리 그립은 없어요. 대신 L브라켓이나 케이지를 사용해서 그립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Q27. 리모트 촬영이 가능한가요?

 

A27. Canon Camera Connect 앱으로 스마트폰 원격 촬영이 가능해요. 라이브뷰 확인과 기본적인 설정 조절, 녹화 시작/정지가 가능합니다.

 

Q28. 인터벌 촬영과 타임랩스의 차이는?

 

A28. 인터벌 촬영은 개별 사진 파일로 저장되고, 타임랩스는 카메라가 자동으로 동영상 파일로 만들어줘요. 후반 작업이 필요하면 인터벌, 바로 사용하려면 타임랩스를 선택하세요.

 

Q29. 플리커 현상을 줄이려면?

 

A29. 형광등 아래에서는 셔터스피드를 1/50초(50Hz 지역) 또는 1/60초(60Hz 지역)로 맞추세요. 안티플리커 기능을 켜면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Q30. 초보자가 가장 먼저 익혀야 할 기능은?

 

A30. 노출 삼각형(ISO, 조리개, 셔터스피드)의 관계를 이해하고, AF 모드 설정을 익히세요. 그다음 픽처 프로파일과 커스텀 버튼 설정을 하나씩 배워가면 됩니다!

 

 

⚠️ 주의사항 및 면책조항 안내

  • 📷 이 콘텐츠는 캐논 EOS R50의 일반적인 영상 촬영 설정과 활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에요.
  • 🎥 제시된 설정값과 촬영 방법은 일반적인 권장사항이며, 촬영 환경과 개인의 스타일에 따라 조정이 필요할 수 있어요.
  • 💾 중요한 촬영 전에는 반드시 테스트 촬영을 진행하고, 여분의 배터리와 메모리 카드를 준비하세요.
  • 🔧 펌웨어 업데이트나 제품 사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캐논 공식 웹사이트를 확인하세요.
  • ⚡ 전자 제품 사용 시 제조사의 사용 설명서를 반드시 읽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세요.
  • 🌡️ 장시간 촬영 시 카메라 과열에 주의하고, 적절한 휴식 시간을 가지며 촬영하세요.
  • 💰 언급된 액세서리와 제품 가격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구매 전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 🛠️ 카메라 개조나 비공식 액세서리 사용으로 인한 고장은 보증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 📹 상업적 촬영이나 특수 목적의 촬영 시에는 관련 법규와 규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허가를 받으세요.
  • 🎯 본문의 정보는 교육 목적으로 제공되며, 전문적인 영상 제작 교육을 대체할 수 없어요.
🔖 이 글은 캐논 EOS R50의 일반적인 영상 촬영 설정 가이드로, 전문적인 영상 제작 교육이나 기술 지원을 대체할 수 없어요.
중요한 프로젝트나 상업적 촬영을 계획하신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고, 충분한 테스트와 백업 계획을 준비해주세요.